[일단, MBTI 성격 유형 검사는 여기서 무료로 하실 수 있습니다.]
-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는 일종의 성격 유형 테스트로, 자진신고 설문조사를 통해 사람들이 자신의 세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사물의 결정을 내릴 것인가에 대한 심리적인 선호를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MBTI는 정신의학자 칼 융에 의해 제안된 개념이론에 기초해 캐서린 쿡 브릭스와 그녀의 딸 이사벨 브릭스 마이어스가 만들었는데, 융은 네 가지 주요 심리학적 기능인 [감각], [직관], [감정], [사고]를 사용하여 사람은 세계를 경험하고 있으며, 사람 생애의 거의 모든 기능에서 이들 네 가지 기능 중 한 가지 기능이 지배적이라고 추측했다.
MBTI는 정상 집단을 위해 구축된 것으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차이의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 MBTI의 근저에 있는 가정은 우리 모두 자신의 경험을 해석하는 방법에 특정한 선호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선호가 우리의 흥미, 니즈, 가치관, 동기부여의 근저에 있다는 것이다.
MBTI는 일반기업이나 민간기업에서는 인기가 있지만, 과학적인 심리측정의 관점에서는 현저한 미비가 있다. 특히, 다음의 4가지 점이 대표적이다.
또한, 미국심리학회가 발행하고 있는 [APA 심리학 대사전]에서는 MBTI 항목에서 비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심리학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거의 신뢰성이 없다]라고 기술하고 있다.
MBTI에서 사용되고 있는 4가지 척도는 더욱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퍼스널리티 이론의 틀인 빅파이브 성격 특성의 4가지 특성과 어느 정도 관계가 있다.
[목차]
구분 | 감각/사고 | 감각/감정 | 직관/감정 | 직관/사고 |
---|---|---|---|---|
내향/판단 | ISTJ | ISFJ | INFJ | INTJ |
내향/인식 | ISTP | ISFP | INFP | INTP |
외향/인식 | ESTP | ESFP | ENFP | ENTP |
외향/판단 | ESTJ | ESFJ | ENFJ | ENTJ |
*해당 유형에 대한 세세한 설명은 하나하나씩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 MBTI와 같은 타입 표기를 이용한 성격진단을 무료로 공개하고 있는 웹 사이트가 여러 개 존재하지만, 그것들은 모두 정확한 MBTI가 아니다.
또, 그것 중에는 타입 간의 궁합을 진단 결과에 병기하고 있는 것이 참 많은데, 이에 대해서도 MBTI와는 한참 다른 것이다. 원래 MBTI에 [궁합론] 따위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MBTI와 마찬가지로 칼 융의 성격유형론에 기초한 자매이론인 소시오닉스(사회인격학)에는 융의 8가지 심리기능의 기능을 구조화하고, 이를 통해 유형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연구가 존재한다.
표기나 이론 일부에 유사성이 있으므로 양자는 혼동될 수 있지만, 실제로는 MBTI와 소시오닉스는 융의 유형론을 각각 다른 해석 때문에 받아들여 발전해 온 이론이기 때문에 호환성은 없다.
즉, 소시오닉스의 관계성이론을 MBTI에 반입해 궁합론으로서 말하는 것은 잘못이다.
- 심리 계측법으로서의 MBTI의 타당성(통계적 타당성 및 검정(檢定)적 타당성)은, 자주 비판의 대상이 되어 왔다.
MBTI에 관해 공표된 자료의 3분의 1에서 2분의 1은 MBTI로 연수를 실시, 그 매출로 자금을 얻고 있는 심리학 타입 응용센터의 특별회의나 마이어스 브릭스의 제창자와 지표를 판매하고 있는 심리학 타입 저널에서 발표된 자료를 쓰고 있다.
이것은 비판적인 조사가 부족하다고 여겨지고 있었다. 실제로 MBTI를 지지하는 연구의 대부분은 방법론적으로 약하거나 비과학적이다.
가드너와 마틴코에 의한 1996년 리뷰에서는 [유형의 선호와 관리의 유효성과의 단순화된 관련성을 찾아내는 노력은 기대 밖임이 분명하다. 실제로 연구의 질적 차이와 일관성 없는 결과를 감안할 때, 이 관계에 대해 결정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없다]고 결론지은 바 있다.
심리학 전문가인 로버트 호건은 [대부분의 성격 심리학자들은 MBTI를 공들인 중국의 '포천 쿠키' 이상의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썼다.
MBTI나 이러한 종류의 검사는, 의학 잡지 상에서는 [유행]의 하나로 분류되고 있으며 또한, 바넘 효과(어? 이거 난데?! 싶은 것)에 의거하고 있는 에니어그램이나 단순한 사탕발림과도 비슷한 것에 불과하다.
- 이사벨 마이어스는 선호의 방향(예를 들어 E와 I)이 선호의 정도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통계적으로는 이는 각 MBTI 척도의 스코어가 이봉성 분포를 나타내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척도의 끝 근처에 위치한다.
즉, 사람들은 예를 들어 외향적이거나 내향적인 심리학적 유형 중 어느 쪽으로 양극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각 척도의 스코어는 실제로 정규 분포와 마찬가지로 중앙에 피크가 있는 형태로 분포하고 있는 것이 밝혀지고 있으며, 대다수의 사람들이 실제로는 척도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따라서 명백히 내향적이지도 외향적이지도 않다는 것이 나타나 있다.
대부분의 성격 특성은 외향성이 낮은 사람에서 높은 사람으로, 약 15%의 사람이 낮은 사람, 약 15%의 사람이 높은 사람, 그리고 대다수의 사람이 중간 정도의 사람이다. 그러나 MBTI의 스코어화에 있어서는 각 척도의 중앙에서 경계선을 만들어 경계선보다 아래 스코어를 모두 낮은 타입으로 분류하였고, 경계선보다 위의 스코어를 반대 타입으로 분류했다.
그러나 오히려 대부분의 사람들이 연속 곡선 중앙 부근에 있으므로 정신 측정학적 평가 연구는 유형론의 개념을 지지하지 않는다. 이봉성이 없는 것에 의해서, MBTI를 개발한 사람의 퍼스널리티 카테고리 [타입]의 이론 베이스 가정이 무효임을 반드시 증명한다고는 결론지을 수 없지만, MBTI 점수의 IRT 베이스 연구에 실증적 이봉성이 없는 것은 그들의 입장을 옹호하고 인용하는 [유형론] 지지자에게 이전에는 이용 가능했던, 잠재적으로 강력한 일련의 증거를 실제로 버리는 것을 의미한다.
- MBTI 지지자 중에는 MBTI에 대한 타입의 다이나믹스 적용(예를 들어 Se/탁월한 감각 또는 Ni/내향적 직관과 같은 지배적 또는 보조적 기능이 추정되는 경우)은 그것을 지지하는 실증적 증거가 거의 없는 논리상의 카테고리 오류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그보다도, 심리 측정 도구로서의 MBTI 타당성은 각각의 타입 카테고리가 독립되어 있어 이분법으로서 볼 수 있는 경우에 가장 높다고 주장하고 있다.
- MBTI 척도의 내용에는 문제가 있다. 1991년에 미국과학아카데미 위원회가 MBTI 조사연구로부터의 데이터를 리뷰하여 I-E 척도만이 다른 측정법의 동일한 정도 척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다른 개념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된 측정법에서는 낮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결론을 내리고 강한 타당성을 보였다.
대조적으로 S-N과 T-F 척도는 비교적 약한 타당성이다. 1991년에 심사위원회는 그 시점에서 [경력 상담 프로그램에 있어서 MBTI 사용을 정당화하는 것은 어려우며, MBTI는 잘 계획된 연구가 아니다]라고 결론지었다.
이 연구에서는 [기준과 관련된 타당성(즉, MBTI는 대인관계나 커리어 퍼포먼스에 관련된 특정 결과를 예측하고 있는가)]에 기초하여 타당성이 측정되었다. 위원회는 MBTI의 인기에 대해 [과학적 가치가 증명되지 않았는데도, 이 측정법이 인기를 끄는 것은 성가신 일]이라고 한 연구 결과와의 모순을 강조했다.
특히, MBTI 항목에 대한 개인의 응답으로부터 얻은 네 가지 문자로 이루어진 유형의 유용성이나 타당성에 대해 주장하기에는 근거가 불충분하다.
- MBTI의 정확성은 그 사람의 정직한 자기 보고에 달려 있다. MBTI는 16PF 질문표,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인격평가척도 등의 일부 인격질문표와는 다르게, 과장되거나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타당성 척도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
그 결과, 다른 유형의 결과를 내려고 하는 사람은 자신의 답변을 얼마든지 속일 수 있으며 어떤 연구에서는 MBTI의 판단/지각의 차원이 아이젱크 성격검사와 약하게 상관관계가 판명된 것을 알 수 있다.
- MBTI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매우 [애매하고 일반적]이라고 비판되어 왔다. 반대로 MBTI 형식의 기술은 간결하지만, 특징적이고 정확하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심리학자 데이비드 키어시와 같이 MBTI 기술을 더욱 상세하게 확장한 이론가도 있는데, 예를 들어 키어시의 4가지 기질에 관한 기술은 16 MBTI의 성격 유형과 상관하면서 언어 사용, 지적 지향, 교육적 및 직업적 관심, 사회적 지향, 자기 이미지, 개인적 가치관, 사회적 역할, 특징적인 제스처에 관해 그 기질이 어떻게 다른지를 보여주고 있다.
- 한 연구에서는 J-P 척도와 S-N 척도가 서로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고 한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인자 분석 연구에서는 네 가지 차원으로 여겨지는 것 대신에 여섯 개의 다른 인자가 발견되어 MBTI의 구성 개념 타당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 한스 아이젱크에 따르면 MBTI의 주요 측면은 E-I로 불린다. 이것은 대부분이 사회성 척도로, MMPI의 사회적 내향성 척도(네거티브)와 아이젱크의 외향성 척도(포지티브)와 상관하고 있다.
안타깝게도 이 척도에는 신경증적 경향도 있고 이는 내향적인 측면과 관련이 있다. 이 내향성은 남녀의 평균값과 거의 상관하며, 지배력이 있는 경우는 -44 공격성이 있는 경우는 -24, 굴욕이 있는 경우는 +37, 상담을 앞둔 경우는 +46, 자신이 있는 경우는 -52, 개인조절이 있는 경우는 -36, 공감이 있는 경우는 -45이다.
내향성과 신경증적 경향(MBTI에는 신경증적 및 다른 정신병리학적 특성의 척도는 없음)의 중복을 해소할 척도를 만들지 못한 것은 MBTI의 최악의 특징이며, 척도 항목의 배치를 테스트하기 위해 인자 분석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 MBTI의 재시험 신뢰성은 낮은 경향이 있다. 대부분 사람들(응답자의 39%~76%)이6%)이 단 5주 후에 지표를 재측정하면 다른 타입으로 분류되며, 포춘지(2013년 5월 15일)의 [MBTI에 속은 적이 있는가?]라는 기사에는 이렇게 쓰여 있다.
MBTI에 대한 흥미, 그리고 어느 정도 우려할 만한 사실은 그 인기에도 불구하고 30년 넘게 전문 심리학자에 의해 지속적인 비판을 받아왔다는 것이다.
한 가지 문제는 ‘신뢰성 테스트/재시도 테스트’에서 50%로 여겨지는 것이다. 이는 통계학자에게 낮은 수치다.
제2의 비판은 MBTI가 성격을 상호 배타적인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결과, '내향적'과 '외향적'으로 진단된 2명의 점수는 거의 같을지도 모르고, 2명은 외향성과 내향성의 경계 선상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MBTI는 2명을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한다.
어느 연구에서는, MBTI 평가에 의해서 할당된 타입과 자신의 취향의 타입을 비교하도록 요구받았는데 같은 타입을 선택한 것은 절반뿐이었다.
MBTI에 대한 비판은 MBTI의 유용성에 관한 의문이 아니라, 그 기원의 타당성에 관한 의문에 귀착한다고 논해져 왔다. MBTI는 인격이 신뢰할 수 있는 측정법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는데, 그 인물에 의하면 [MBTI는 모든 지표와 같이, 샘플의 특성과 시험 조건에 의존한 스코어를 가져온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