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경제 건강정보 라이프스타일

(일본주식) KDDI 주가 폭락 이유는? 과거 10년의 주가 추이 분석!


- [KDDI(9433)는 고배당의 디펜시브 종목이지만, 주가가 크게 하락하는 일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폭락의 시기와 주가 하락의 배경이나 요인은 무엇입니까?]


[지난 10년간의 주가 추이도 궁금합니다. 향후 실적에 대한 리스크는 무엇입니까?]


이러한 의문을 가지시는 분들을 위해 여러 자료를 통해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 KDDI의 주가와 과거 10년간의 추이는?
  • KDDI 폭락의 시기란?
  • KDI의 주가 폭락 요인(2015년)이란?
  • KDI의 미래 실적 악화 리스크란?


KDDI는 일본의 종합 통신 대기업으로, 일본의 휴대전화 사업은 KDDI가 전개하는 au브랜드, NTT 도코모, 소프트뱅크 3사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통신주답게 주가는 안정되어 있고, 고배당 디펜시브 종목으로서 투자가로부터 절대적인 인기를 자랑합니다. 우대 종목으로서의 인지도가 높습니다.


이런 KDDI는 통신사업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지분은행(じぶん銀行)][카부닷컴증권(カブドットコム証券)]에 출자해 금융사업 등 다른 분야로의 진출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그런 KDDI에 대해 지금까지의 폭락 요인이 무엇인지 등 종목 분석을 해봅시다.



[목차]




1. KDDI의 주가와 폭락 시기에 대해

- 다음으로, KDDI의 주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1. KDDI의 주가와 배당 추이에 대해

- KDDI의 주가 데이터를 간단히 정리했습니다.



역시, 통신주답게 배당 이율이 3%를 넘기는 높은 수치군요. 아래 그래프와 같이 19분기 연속 증배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2. KDDI의 과거 10년 주가 추이란?

- 아래 차트는 최근 5년간 주가 추이입니다.



2014년 후반부터 2015년에 걸쳐 주가가 2,000엔에서 3,000엔 넘게 대폭 상승한 후 오랫동안 3,000엔 전후의 레인지로 추이하고 있습니다.


통신주는 매출이 경기에 영향을 주지 않는 디펜시브 종목이며, 고배당+우대로 인기도 높아서 내려도 매입이 용이하게 안정된 가격변동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3. 과거 KDDI 주가가 폭락했던 시기는?

- KDDI는 실적이 안정되고, 주가도 마찬가지로 안정적이었습니다.


그러나 사실, 지난 5년 동안 3회 1~2개월 정도의 짧은 기간 동안 주가가 20% 이상 크게 폭락했습니다.


2020년 코로나 쇼크로 인한 폭락은 너무나도 당연하니, 그걸 제외하더라도...


  • 2015년 8~9월경
  • 2017년 12월쯤
  • 2018년 10월경


시기가 있었는데, 이것은 일본 통신주 특유의 이유로 하락한 것입니다.


이하, 그 요인을 살펴보겠습니다.


4. 2015년: KDDI 주가 폭락 요인


4-1. 2015년경 주가 추이와 폭락

- 아래 차트는 2015년 부근의 주가 추이입니다.



2014년 후반부터 순조롭게 주가가 상승해 왔지만, 2015년 8~9월에 걸쳐 큰 폭으로 주가가 3,300엔 부근에서 2,650엔까지 20% 이상 폭락하고 있었습니다.


4-2. 2015년 주가 폭락의 요인

- 주가 폭락의 주요 요인은


  • 요금 경쟁 리스크가 의식되었다는 것
  • 정부 통신요금 인하 검토


이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당시  아이폰6s 발매와 함께 KDDI와 소프트뱅크가 5분 이내의 국내 통화를 무제한으로 걸 수 있는 요금제를 발표한 것으로, 요금 인하의 리스크가 의식된 것.


두 번째는, 아베 총리가 당시 총무대신에게 휴대전화 요금 인하의 검토를 지시함으로써 수익 악화 염려로 연결되었고, 다음날 KDDI 주가는 하루 만에 8.5% 떨어지는 등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5. 2017년~2018년: KDDI 주가 폭락 요인


5-1. 최근 2년간 주가 추이와 폭락

- 아래 차트는 최근 2년간 주가 추이입니다. 2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기간에 20% 가까운 폭락이 두 번 있습니다.



첫 번째가 2017년 12월의 하락입니다. 3,200엔 부근까지 상승했던 주가가 갑자기 무너지면서 2개월 만에 2,600엔 부근까지 대폭 하락했습니다.


두 번째는 2018년 10월쯤입니다. 주가가 반등하여 3,200엔 부근까지 올라갔는데, 한 달 만에 2,400엔 부근까지 폭락했네요.


5-2. 최근의 주가 폭락 요인

- 최근 2년간 주가 폭락의 주요 요인은..


  • 라쿠텐의 통신사업 진출
  • 정부 통신요금 인하 검토
  • 요금 경쟁 리스크 의식


이 3가지입니다.


2017년의 폭락은 라쿠텐이 휴대전화 사업자로의 참가를 발표한 것에 의한 것으로, 원래 대기업에서 설비를 빌리는 것으로 통신 사업을 운영하고 있었으나 자기 부담으로 회선이나 설비를 정비, 10년 후를 목표로 1,500만 이상의 계약 건수를 목표로 한다고 발표.


2018년의 폭락은, NTT 도코모가 관방장관의 [휴대 사업자는 요금을 4할 인하할 수 있다]라는 발언이 있던 것을 두고 돌연, 요금 체계를 재검토해 휴대전화의 이용 요금을 최대로 4할 정도 인하한다고 발표한 것에 의한 폭락.


회견 다음날인 11월 1일, KDDI의 주가는 16% 정도 매도되었습니다. 


이러니 무서워서 투자하겠나...



6. KDDI의 미래 실적 악화 리스크란?

- 지난 5년 동안의 주가 폭락을 보면, KDI의 향후 실적과 주가를 좌우할 요인이 보입니다. 


구체적으로는...


  • 요금경쟁에 의한 수익하락
  • 정부로부터의 통신료 인하 압력


6-1. 요금 경쟁으로 인한 실적 하락 리스크

- 일본의 통신 사업은 오랫동안 NTT 도코모, KDDI, 소프트뱅크 3개사로 독점되어 있었고, 이용자에게 있어서 요금 체계가 복잡하며 경쟁이 일어나기 어려우므로 휴대요금은 비싸져만 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2015년이나 2018년 폭락 때처럼, 세 회사 중 한 곳이라도 요금 체계를 개편하여 통신 요금을 인하한다고 발표하면 실적 악화 우려 때문에 주가가 크게 팔리게 됩니다.


또한 라쿠텐이 2019년부터 통신 사업에 뛰어드는 것도 KDDI로 보면 큰 실적 하락 리스크입니다. 라쿠텐은 아무래도 후발주자로서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간단하고 저렴한 이용 플랜을 준비한다는 말이 나오기 때문에, 이것들이 발표되면 KDDI의 주가는 하락 기조가 더욱 강화될지도 모릅니다.


6-2. 정부의 통신 요금 인하 압력

- 라쿠텐의 통신사업 참여에 이어 리스크가 높은 것이 일본 정부로부터의 가격 인하 개입입니다. 우리나라나 일본이나 공공재로 통신 사업에 활용하는 주파수는 정부로부터 할당되기 때문에, 통신 사업자는 정부의 의향에 정면으로 대응할 수 없습니다.


관방장관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NTT 도코모가 발표한 최대 40% 인하라고 하는 新요금 플랜은 실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이 스마트폰 계약자의 4할 정도로 단말기 구입 부담은 상승하기 때문에 이용자 전체에 대한 혜택은 적다고 볼 수 있습니다.


KDDI나 소프트뱅크도 같은 신요금 플랜이므로, 통신 사업자의 큰 실적 악화는 되지 않으리라고 생각됩니다.



7. 마무리

- 이번에는 KDDI의 주가 폭락 요인과, 이러한 요인으로부터 장래의 실적 악화 리스크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정부의 개입이나 라쿠텐의 통신사업 진출 등, 디펜시브 종목답지 않게 주가의 폭락을 보이는 KDDI는 매출이 매우 안정되어 있어, 18개 분기 연속 증배로 현재까지는 실적에 문제가 없습니다.


한편, 이러한 우려 이외에도 금융 등의 비통신 사업으로 참가나 5G 관련 거액의 인프라 투자 등이 있어, 이러한 사업에의 성패가 KDDI의 장래 실적을 좌우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여러분께 추천 드리는 콘텐츠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